사전

사내 벤처(Corporate Venture, CV)

기업이 본래의 사업과 다른 시장으로 진출하거나 새로운 제품의 개발을 목적으로 하여 기업내부에 독립된 태스크포스, 사업팀 혹은 부서의 형태로 설치하는 것으로, 단기간에 신규사업을 육성하는 효율적인 수단으로 사용된다. 무형에서 사업을 일으키기 위한 조직인 사내 벤처는 기존에 어느 정도 확립된 사업을 독립채산제로 추진하는 사업부제와는 차이가 있다. 사내 벤처가 확실한 비즈니스모델이 가지게 되면 기업의 신규 사업부서로 전환되거나 독립시켜 별개의 법인으로 외부자금을 조달받아 게열사로 편입되기도 한다. 선진국에서는 1940년부터 신기술 사업화와 조직슬림화, 직원의 사기 진작 등을 위해 주로 대기업에서 시행해오고 있다. 우리 나라는 1996년부터 기업들이 도입하기 시작하였으며 (주)인터파크가 효시로 인정되고 있다. 사내벤처는 1999년 중반 벤처기업 붐이 일어나면서 더욱 활성화되었으며, 별도의 법인으로 발전한 경우도 많았다. 별도 법인으로 독립한 뒤 코스닥에 등록하면 출자지분을 매각하여 막대한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실패하더라도 재무적 위험이나 경력개발 상의 위험 부담은 회사에서 지며, 개인은 기존의 조직에 남을 수 있어 창업을 하려는 사람들의 창업위험을 줄여준다. 기업은 신사업 발굴과 유능한 인재의 외부 유츨을 막을 수 있어 기업경쟁력 증진에 많은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내벤처는 경쟁력이 떨어지는 사업을 정리하는 차원으로 시행되는 일반적인 분사와는 달리 미래 유망사업 진출에 활용되는 특징이 있다.

등록일 2020-11-03.

신규 용어

새로 등록된 호가 단어를 아시나요?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