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절대적 빈곤(율)

빈곤은 소득이 낮아 인간다운 생활을 하기 어려운 상태를 말한다. 빈곤한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을 구분하는 기준이 되는 소득 수준을 빈곤선이라 한다. 빈곤선을 규정하는 방법에 따라 빈곤은 절대적 빈곤과 상대적 빈곤으로 구분된다. 절대적 빈곤은 소득이 최저 생계비보다 낮아 최소한의 인간다운 생활을 하기조차 어려운 상태를 말하고, 절대적 빈곤율은 절대적 빈곤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상대적 빈곤율은 전체 인구에서 빈곤 위험에 처한 인구의 비율로서 처분 가능 소득이 중위 소득의 50%보다 낮은 사람이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로 계산한다. 여기에서 중위 소득은 소득의 크기 순으로 사람들을 세웠을 때 정확히 중간에 있는 사람의 소득을 말한다. 만일 어느 나라의 중위 소득이 100만 원일 때 상대적 빈곤율은 중위 소득의 50%인 50만 원보다 소득이 낮은 사람들이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로 계산한다. 물가의 변화 없이 경제가 성장하는 경우 절대적 빈곤선은 변함이 없지만 소득이 증가하기 때문에 상대적 빈곤선은 높아진다. 일반적으로 절대적 빈곤율보다 상대적 빈곤율이 높다. 우리나라의 경우 시장 소득을 기준으로 빈곤율을 살펴보면 2016년 기준 절대적 빈곤율은 14.0%이고 상대적 빈곤율은 18.3%이다. 인구 유형별로는 노인의 빈곤율이 가장 높은데 2016년 기준 절대적 빈곤율은 55.2%이고 상대적 빈곤율은 65.7%이다.

등록일 2020-11-03.

신규 용어

새로 등록된 호가 단어를 아시나요?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