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커버드 워런트(Covered Warrant)

커버드 워런트는 이를 보유하고 있는 주체에게 기초 자산을 특정 가격으로 특정일 혹은 그 이전에 팔거나 살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한다. 여기서 말하는 기초자산은 특정 주식, 다양한 주식의 집합, 인덱스, 통화 등 다양한 범위를 아우른다.?기존의 워런트와 달리, 커버드 워런트는 발행주체를 기준으로 하여 기초자산인 주식의 발행회사가 아닌 제3자가 발행하는 워런트이다. 발행자인 금융기관은 기초자산을 전부 보유한 상태에서 발행하기 때문에 투자자에게 워런트를 팔면서 기초 자산 구입에 대한 익스포져를 헷징(hedge or cover)하게 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기초자산의 보유와는 상관없이 제3자가 발행하는 워런트를 총칭하여 커버드 워런트라고 칭하기도 한다. ‘커버드 워런트’는 옵션과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으나 분명한 차이점이 몇 가지 존재한다. ‘커버드 워런트’는 옵션의 경우와 달리 최초 발행이 불가하고, 오직 시장에서 구입만 할 수 있다. 또한, 상품의 일반적인 계약 기간으로 ‘커버드 워런트'의 경우 주로 6개월에서 9개월로 계약이 성사되는 반면, 옵션의 경우 대체로 1달에서 3달 정도의 기간으로 활발히 거래된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등록일 2020-11-03.

신규 용어

새로 등록된 호가 단어를 아시나요?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