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순응성은 경제 변수가 경기 변동의 움직임과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성격을, 경기 역행성은 경제 변수가 경기 변동의 움직임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성격을 말한다. 소비, 투자, 고용 등은 경기와 같은 방향으로 움직여 경기 순응적인 반면 실업률은 경기와 반대 방향으로 움직여 경기 역행적이다. 경제 변수의 경기 순응성은 경기 변동폭을 크게 만든다. 은행 대출과 같이 경기 순응성을 지닌 변수는 경기 침체기에는 대출금 회수에 대한 우려에 따른 심사 기준 강화로 대출이 감소하여 경기 침체를 부추기는 반면 경기 호황기에는 낙관적인 기대에 따른 심사 기준 완화로 대출이 증가하어 경기를 과열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