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에서의 시장은 경쟁 강도에 따라 크게 완전경쟁시장, 독점시장, 독점적 경쟁시장, 과점시장으로 분류한다. 이 중에서 독점적 경쟁시장은 독점시장과 완전경쟁시장의 성격이 혼합된 시장이다. 독점적 경쟁시장의 독점시장적 요소는 우하향하는 수요 곡선에서 나온다. 생산자는 시장에서 설정된 가격을 수동적으로 수용하지 않고, 시장에 대해 어느 정도의 지배력을 가지고 자신만의 가격을 재화에 매길 수 있다. 한편 독점적 경쟁시장 속 기업은 그가 판매하려고 하는 재화의 특성과 가격 측면에서 다른 기업들과 경쟁해야 한다. 이것이 바로 독점적 경쟁시장의(완전)경쟁시장적 요소이다. 독점적 경쟁시장은 다른 종류의 시장과 달리 판매하는 재화의 속성이 기업마다 약간씩 다를 수 있어, 재화의 특성으로도 다른 기업들과 경쟁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독점적 경쟁시장에는 새로 시장에 진입하는 잠재기업들을 차단하는 진입장벽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 또한 경쟁시장적 요소 중 하나이다. 독점적 경쟁시장의 예로는 패스트푸드 산업을 들 수 있다. 패스트푸드를 수요하는 소비자들은 맛도 있으면서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음식을 원한다. 그런데 패스트푸드의 수요를 담당하는 패스트푸드 체인(공급자)은 여러 종류가 있다. 어떤 체인은 닭 요리를 위주로 공략하고, 어떤 체인은 소비자들로 하여금 자신이 원하는 햄버거 재료를 선택할 수 있게 하여 제품을 차별화시킨다. 이처럼 같은 패스트푸드라는 재화이지만 패스트푸드 시장 내에서 경쟁하는 기업들의 재화를 하나하나 살펴보면 약간씩 그 종류가 다르다. 그러므로 기업은 그가 판매하는 패스트푸드에 대해 어느 정도의 시장지배력을 가지고 자신이 재화의 가격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이렇게 기업마다 판매하는 제품의 종류 및 가격이 조금씩 차이나는 독점적 경쟁시장의 특성상 새로운 경쟁기업이 패스트푸드 시장에 쉽게 진입할 수 있다. 예로써 해산물 유행이 번져 해산물 햄버거를 전문으로 판매하는 새로운 패스트푸드 체인이 패스트푸드 업계에 등장할 수 있는 것이다.